가잔 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잔 칸은 1295년부터 1304년까지 일 칸국을 통치한 제7대 칸이다. 몽골 제국의 톨루이 가문의 후손으로, 어린 시절 기독교 신자로 성장했으나, 1295년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마흐무드'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그는 재위 기간 동안 이슬람교를 장려하고, 다양한 종교에 관용을 베풀었으며, 재정 개혁과 군사 개혁을 추진했다. 또한, 맘루크 왕조에 대항하여 프랑코-몽골 동맹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1304년 3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04년 사망 - 고후카쿠사 천황
고후카쿠사 천황은 고사가 상황의 섭정 아래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가메야마 천황에게 양위 후 상황으로서 지묘인 왕통 강화를 위해 정치 활동을 펼쳤고, 왕통 계승 분쟁 중 가마쿠라 막부의 개입을 받았으며, 후시미 천황 즉위와 구메이 친왕의 쇼군 임명 등을 통해 지묘인 왕통 세력 확대에 기여한 87대 천황이다. - 1304년 사망 - 교황 베네딕토 11세
도미니코회 총장 출신으로 제194대 교황에 오른 베네딕토 11세는 짧은 재임 기간 동안 보니파시오 8세의 파문 철회, 프랑스와 잉글랜드 휴전 중재, 새 추기경 임명, 성경 주석 집필 등의 활동을 펼쳤으며 사후 복자로 시복되었다. - 불교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 - 이승철
이승철은 1985년 록 그룹 부활의 보컬로 데뷔하여 솔로 활동을 시작, 여러 히트곡을 발표하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가수로 활동했으며, 1990년 대마초 흡연 혐의로 구속된 후 재개하여 2006년 일본에서 RUI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 불교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 - 헬레나 파파리주
스웨덴에서 태어난 그리스계 스웨덴 가수 헬레나 파파리주는 1999년 듀오 앤티크 멤버로 데뷔하여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3위를 기록했고, 2005년에는 솔로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우승하며 이름을 알렸다.
가잔 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군주호 | 칸 이란과 이슬람의 파데샤 |
전체 이름 | 마흐무드 가잔 |
출생일 | 1271년 11월 5일 |
출생지 | 아바스쿤, 일 칸국 |
사망일 | 1304년 5월 11일 |
사망지 | 카즈빈, 일 칸국 |
종교 | 수니 이슬람 (1295년 이후), 네스토리우스교 |
통치 | |
즉위 | 1295년 10월 4일 |
퇴위 | 1304년 5월 11일 |
대관식 | 1295년 10월 19일 |
선임자 | 바이두 |
후임자 | 올제이투 |
섭정 | 나우루즈 |
섭정 유형 | 나이브 |
가계 | |
아버지 | 아르군 |
어머니 | 콜탁 에게치 |
배우자 | 예디 쿠르트카 카툰 불루간 카툰 호라사니 코코친 불루간 카툰 무아자마 에실 카툰 돈디 카툰 카라문 카툰 쿠툴룬 |
자녀 | 올제이 쿠툴루그 (아부 사이드의 비) |
관직 | |
직위 | 일 칸 |
임기 | 1295년 - 1304년 |
전임자 | 바이두 |
후임자 | 올제이투 |
직위 1 | 호라산의 총독 |
임기 1 | 1284년 - 1295년 |
전임자 1 | 아르군 |
후임자 1 | 니룬 아카 |
2. 어린 시절과 성장 배경
가잔 칸은 1271년 11월 5일[4][5] 아바스쿤(현재 반다르 토르카만 근처)에서 아버지 아르군과 그의 첩인 도르베트 오이라트 출신의 쿨탁 에게치 사이에서 태어났다.[3] 그가 태어났을 때 몽골 제국 훌레구 울루스의 칸은 할아버지인 아바카였다. 아버지는 당시 아바카 칸에 의해 후라산에 파견된 상태였다. 라시드 알딘 하마다니에 따르면, 가잔의 부모는 아르군이 총독으로 있던 마잔다란 주에서 결혼했으며, 당시 아르군의 나이는 12세였다.[3]
가잔은 할아버지 아바카 칸이 총애했지만 자녀가 없었던 아내 불루칸 카툰의 오르다에서 유목 생활을 하며 성장했다.[6] 그는 1279년 아바카 칸이 카라우나스를 공격할 때 잠시 아버지를 만났을 뿐, 주로 불루칸 카툰의 오르다에서 지냈다.[6] 아바카 칸 사후에는 불루칸 카툰의 바그다드 야영지에서 가이하투와 함께 지내기도 했다. 이후 불루칸 카툰이 아버지 아르군과 재혼하여 가잔의 계모가 되면서 아버지와 함께 지내게 되었다.
가잔은 형 울제이투와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동방 기독교 신자로 자랐다.[7] 당시 몽골인들은 전통적으로 여러 종교에 관대했는데, 가잔은 어린 시절 카안 울루스에서 온 불교 승려로부터 고대 만다린과 불교를 배웠으며, 몽골 문자와 위구르 문자 교육도 받았다.[8][78]
1284년, 테쿠데르가 폐위되고 아버지 아르군이 칸의 자리에 오르자, 11세의 가잔은 부왕(viceroy)으로 임명되어 호라산으로 파견되었다.[6] 이후 그는 다시 아버지를 보지 못했다.
2. 1. 아르군 칸 치하에서의 역할
가잔은 아버지가 일 칸국의 칸으로 즉위하기 전인 1284년부터 이미 호라산 지역 군대를 통솔하는 역할을 맡고 있었다. 그는 차카타이 칸국의 왕족 우마르 오굴 등 여러 아미르들과 함께, 당시 아버지 아르군과 대립하던 테쿠데르 아흐마드 칸에게 평화 회담을 제안하기도 했다.1284년 아버지 아르군이 테쿠데르를 몰아내고 칸으로 즉위하자, 11세의 가잔은 부왕(viceroy)의 자격으로 호라산으로 파견되어 그곳을 다스리게 되었다. 아르군은 즉위하면서 훌레구 가문의 여러 자손에게 영지를 분배했는데, 가잔에게는 호라산, 마잔다란, 그리고 레이를 포함하는 쿠미스 지방의 통치권이 주어졌다. 이때 아르군 아카의 아들이자 '호라산 카라우스 만호대'의 장이었던 노루즈가 가잔의 부관(나이ِب)으로 임명되었다.
하지만 노루즈를 비롯한 여러 왕족과 부족장들은 일 칸국 내부의 패권을 두고 끊임없이 다투었으며, 노루즈 자신도 1289년 아르군 칸에게 반란을 일으키는 등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가잔은 아버지의 치세 동안 이러한 내부의 갈등과 반란을 처리하는 동시에, 중앙아시아 차가타이 칸국의 침입으로부터 국경을 방어하는 임무를 수행해야 했다. 이처럼 가잔은 10대 초반부터 왕족과 부족장 사이의 복잡한 권력 다툼과 군사적 위협 속에서 정치 및 군사 경험을 쌓아나갔다.
2. 2. 가이하투 칸 치하에서의 역할
1291년 아버지 아르군 칸이 사망했을 때, 가잔은 후라산과 니샤푸르에서 오이라트 귀족 나우루즈(Nawruz)의 습격과 반란, 그리고 기근 문제에 대처하고 있었기 때문에 수도에서 즉시 칸위를 주장할 형편이 아니었다.[11] 지난 세 명의 칸을 섬겼으며 아르군의 죽음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군 사령관 타가차르는 가잔의 삼촌인 가이하투를 새로운 일 칸으로 지지했다.[11]가잔은 가이하투에게 충성을 맹세했지만, 어린 시절의 경쟁 관계는 남아 있었다. 가이하투는 안바르치 왕자(몽케 테무르의 아들)와 투라다이, 쿤추크발, 엘 테무르 등이 지휘하는 군대를 보내 호라산에서 나우루즈에 맞서는 가잔을 지원하려 했다. 그러나 곧 기근이 닥쳐 군대에 식량을 공급할 수 없게 되자 안바르치는 아제르바이잔으로 돌아가야 했다.[11] 가잔은 가이하투의 지폐 도입 정책에 대해서도 호라산의 습한 날씨 때문에 종이를 다루기 어렵다는 이유를 들어 따르기를 거부했다.[79][14]
1294년, 가잔은 니샤푸르에서 마침내 나우루즈의 항복을 받아냈고, 나우루즈는 가잔의 부관이 되었다.[80][13]
같은 시기, 가잔은 타브리즈에서 호라산으로 돌아오는 길에 원나라에서 온 몽골 공주 코코친을 맞이하여 아내로 삼았다. 코코친은 원래 가잔의 아버지 아르군과 약혼했으나, 마르코 폴로 등이 포함된 사절단과 함께 긴 여정을 하는 동안 아르군이 사망하여 대신 아들인 가잔과 결혼하게 된 것이다.[81][12]
3. 즉위와 이슬람으로의 개종
1295년, 아르군과 가이하투 칸을 연이어 암살한 타가차르와 그의 추종자들은 자신들이 조종하기 쉬운 가잔의 사촌 바이두를 칸으로 내세웠다.[15] 바이두는 사실상 허수아비였고, 타가차르 일파는 일 칸국 영토를 자신들의 입맛대로 나누려 했다. 가이하투의 암살 소식을 들은 가잔은 바이두에게 대항하여 군사를 일으켰다.
이 과정에서 가잔은 이전에는 적대 관계였던 무슬림 몽골 아미르 나우루즈의 결정적인 도움을 받았다.[83] 나우루즈는 바이두가 귀족들의 꼭두각시에 불과하다며 가잔에게 거병을 촉구했고,[15] 군사적 지원을 약속하는 대가로 가잔의 이슬람교 개종을 제안했다.[19][20] 가잔은 이를 받아들여 1295년 6월 16일, 이브라힘 이븐 무함마드 이븐 알무아이드 이븐 하마웨이 알쿠라사니 알주와이니(Ibrahim ibn Muhammad ibn al-Mu'ayyid ibn Hamaweyh al-Khurasani al-Juwayni)의 집전 하에 공식적으로 이슬람교로 개종하고[17][18][84] '마흐무드'라는 무슬림 이름을 얻었다.
나우루즈의 지원을 등에 업은 가잔의 군대는 카즈빈 인근에서 벌어진 첫 전투에서 바이두 군대를 격파했다.[16] 이후 나우루즈는 바이두 진영의 주요 에미르들의 이탈을 유도했고, 궁지에 몰린 바이두는 조지아 방면으로 도주했으나 결국 나흐치반 근처에서 가잔의 군대에 붙잡혔다. 가잔은 1295년 10월 4일 바이두를 처형하고,[22] 타브리즈에서 일 칸국의 제7대 칸으로 즉위했다. 즉위 후 가잔은 스스로를 "이슬람의 제왕"이라 칭하며, '마흐무드 가잔'이라는 이름으로 통치를 시작했다.
3. 1. 이슬람 개종의 배경과 의미
가잔 칸의 개종은 단순한 신앙의 변화가 아니라, 일 칸국 내부의 복잡한 정치 상황 속에서 이루어진 전략적 선택이었다. 1295년, 타가차르 등은 칸 가이하투를 암살하고 자신들이 통제하기 쉬운 바이두를 새로운 칸으로 옹립했다. 이에 가잔은 바이두에게 도전하기 위해 이전에는 적대 관계였던 무슬림 몽골 아미르 나우루즈의 도움이 필요했다.나우루즈는 가잔에게 이슬람교로 개종하면 모든 무슬림의 지지를 확보하여 바이두를 몰아낼 수 있다고 설득했다.[82][83] 실제로 가잔은 아버지 아르군의 영향으로 본래 불교 신자였으며, 티베트 불교 등에 기부하고 호라산 등지에 사찰을 건립하기도 했다. 그러나 나우루즈는 히즈라력 690년대(서기 1290년대)에 "이슬람 제왕"이 나타나 이슬람을 부흥시킬 것이라는 예언을 언급하며 가잔의 결단을 촉구했다.
결국 가잔은 나우루즈의 군사적 지원을 약속받는 조건으로 개종을 결심하고, 1295년 6월 16일(히즈라력 694년 샤반월 1일) 랄 다마반드 평원의 쿠슈크(정자)에서 쿠브라비 교단의 셰이크 사드루딘 이브라힘 알주와이니(Sheikh Sadruddin Ibrahim al-Juwayni)의 주관 하에 샤하다(신앙 고백)를 하며 공식적으로 이슬람교도가 되었다.[84] 이 과정에서 가잔은 이슬람식 이름인 '마흐무드'를 사용하게 되었고, 휘하의 여러 장수와 병사들도 함께 개종했다.
가잔은 나우루즈의 도움으로 1295년 10월 5일 바이두를 처형하고 칸위에 올랐으나, 개종 이후의 정책은 복합적인 양상을 보였다. 그는 이슬람교를 장려하면서도, 조상들의 관용 정책을 이어받아 시아파나 속국의 조지아, 아르메니아 기독교도들의 신앙을 존중했다. 또한, 박해를 피해 이슬람으로 개종한 척했던 불교 승려들에게 티베트로 돌아갈 자유를 허락하기도 했다.[85] 몽골의 전통법인 야삭과 몽골 샤먼의 영향력도 가잔과 그의 후계자 울제이투 시대까지 유지되었다.[86]
그러나 개종을 주도했던 나우루즈는 강경한 이슬람 정책을 추진하며 다른 종교에 대한 탄압을 시작했다. 그의 추종자들은 불교 사원과 기독교 교회를 파괴하고 신자들을 박해했으며, 이로 인해 이란 지역의 불교는 큰 타격을 입었다.[87] 마라게의 기독교 성당은 약탈당했고, 타브리즈와 하마단의 교회는 파괴되었다. 이에 가잔은 기독교도에 대한 지즈야(인두세) 면제 포고를 내리고[88] 1296년 네스토리우스파 총대주교 마르 야발라하 3세(Mar Yaballaha III)를 복권시키는 등 탄압을 중단시키려 노력했다. 결국 가잔은 1297년 나우루즈와 그 일파를 반역죄로 체포하고, 헤라트로 도주했던 나우루즈를 그해 8월 13일 처형하며[89] 상황을 직접 통제하기 시작했다.[90]
이후 가잔은 이슬람으로 개종한 유대인 출신 학자 라시드웃딘을 1298년 재상으로 발탁하여 20년간 중용했으며,[91] 그에게 몽골 제국과 세계의 역사를 집대성한 『집사』(Jami' al-tawarikh) 편찬을 맡기는 등 이슬람화된 제국의 통치 기반을 다지고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려 노력했다.
4. 통치와 개혁
1295년 10월 4일, 가잔 칸은 경쟁자였던 바이두를 제거하고 일 칸국의 제7대 군주로 즉위했다. 그는 즉위와 함께 스스로를 "이슬람의 제왕"(Pādshāh-i Islāmar)이라 칭하고, 무슬림식 이름인 마흐무드 가잔(Maḥmūd Ghāzānar)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나우루즈 에미르의 영향 아래 이슬람 외 종교에 대한 강경책이 시행되어 불교 사찰, 조로아스터교 사원, 기독교 교회, 유대교 회당 등이 파괴되기도 했다.[23] 이러한 조치로 일 칸국은 국가 차원에서 이슬람화를 추진하게 되었으나, 가잔 칸은 점차 그의 선조들처럼 종교적 관용 정책으로 선회했다. 그는 불교 승려들이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허락하고,[65] 기독교인들에게 부과되던 지즈야(비무슬림 인두세)를 면제했으며,[67] 네스토리우스파 총대주교 마르 야발라하 3세를 복권시키고 종교적 박해를 자행한 광신자들을 처벌하기도 했다.[68] 몽골의 전통 법인 자사는 여전히 효력을 유지했고, 몽골 샤먼들도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66]
가잔 칸은 훌레구 울루스가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쿠빌라이 카안 사후 약화된 카안과의 종속 관계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군주로서의 권위를 확립하고자 다방면에 걸친 개혁을 단행했다.[92] 1298년, 그는 이슬람으로 개종한 유대인 출신의 학자이자 의사인 라시드웃딘을 재상으로 발탁하여 재정 개혁과 지배 체제 강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했다.[33]
가잔 칸의 주요 개혁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경제 및 재정: 도량형과 통화를 통일하고, '가잔 디나르'(Ghazani dinarsar)를 포함한 복본위제 화폐를 도입했다. 왕조의 재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이란 지역에 새로운 인구 조사를 실시했으며, 황무지와 버려진 땅을 다시 경작지로 만들고 동아시아의 새로운 작물 도입을 장려했다. 이자 수수를 금지하고,[72] 국가의 구매 절차를 개혁하여 원자재 구매와 장인에 대한 지불을 체계화했으며, 무기를 공개 시장에서 구매하도록 했다.
- 행정 및 토지: 참치 제도(역참제)를 개선하여 숙박 시설, 병원, 학교 등을 건설하고, 긴급한 군사 정보 전달 외에는 역참 이용을 제한했다. 자르릭(칙령) 반포 절차를 개혁하여 형식과 등급별 봉인을 정하고 모든 칙령을 조정에 보관하도록 했으며, 오래된 칙령과 파이자(권위의 상징물)는 효력을 상실시켰다. 몽골 병사들에게는 토지에서 나오는 수입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이크타(군사 봉토)를 지급했다.
- 군사: 몽골인 평민이 자녀를 노예로 파는 행위가 군의 인력과 위신을 떨어뜨린다고 판단하여 이를 금지하고, 해방된 몽골 노예 소년들로 구성된 부대를 창설하여 볼라드 칭상(쿠빌라이 칸의 사절)에게 지휘를 맡겼다. 또한 대부분 몽골인으로 구성된 새로운 호위 부대를 창설했지만, 정치적 중요성은 제한했다.
- 문화: 재상 라시드웃딘에게 칭기즈 칸 가문과 일 칸국 내 튀르크-몽골 부족의 역사를 집대성한 역사서 편찬을 명했다. 이 작업은 가잔 칸 사후 그의 동생이자 후계자인 울제이투 시대에 『집사』(Jāmiʿ al-Tawārīkhar)로 완성되어 후대 이슬람 세계 역사 서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가잔 칸은 이란과 아나톨리아에서 발행된 동전에는 카안의 칭호를 빼고 자신의 이름만을 새겨넣어 독자적인 군주로서의 위상을 드러내려 했다. 그러나 조지아에서 발행된 동전에는 "카안의 이름으로 일 칸 가잔이 주조함"이라는 전통적인 문구를 사용하여 원나라 카안의 권위를 인정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는데, 이는 카프카스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73] 또한 그는 자신이 카안 아래의 왕자임을 나타내는 중국식 인장을 계속 사용하며 원나라와의 관계를 유지했다.[74]
가잔 칸은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군주로 평가받는다. 그는 모국어인 몽골어 외에도 중국어, 아랍어, 라틴어로 추정되는 '프랑크어' 등 여러 언어를 구사했으며,[71] 농업 기술, 회화,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졌다. 비잔틴 역사가 게오르기우스 파키메레스는 가잔 칸이 안장, 굴레, 박차 등 마구와 무구를 직접 제작하고 수리하는 데 뛰어난 솜씨를 보였다고 기록했다.[70]
이러한 개혁 정책을 통해 가잔 칸과 그의 뒤를 이은 동생 울제이투 시대에 일 칸국은 정치적, 문화적 전성기를 맞이했다. 그러나 가잔 칸은 1304년 5월 17일, 34세의 젊은 나이로 병사했으며, 그의 짧은 치세는 일 칸국의 전성기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고 쇠퇴하는 한 요인이 되었다. 그의 유해는 타브리즈 교외에 생전에 조성한 복합 시설 '가자니야'의 묘소에 안장되었다. 아들이 없었기에 동생 울제이투가 그의 뒤를 이어 칸위에 올랐다.
4. 1. 대외 관계
가잔 칸은 주치 울루스와의 관계는 개선했지만, 중앙아시아의 우구데이계와 차가타이계 칸국들은 일 칸국과 그의 주군인 원나라의 카안에게 지속적인 위협이었다.[28] 차가타이 칸국의 칸 두아는 가잔이 즉위했던 1295년 후라산을 침공했다. 또한 차가타이 칸국의 네구데리(Negüderi)의 침공은 가잔이 시리아에서 군사 작전을 펼치는 데 어려움을 더했다. 가잔은 1303년에 봉신국인 아르메니아 군대와 함께 약 8만 명의 군대를 동원하여 쿠틀루그 카와자가 이끄는 차가타이 칸국의 침략군을 격퇴하기도 했다.[57]반면, 가잔은 원나라의 카안 및 금장 칸국과는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1296년 쿠빌라이 칸의 후계자인 테무르 카안은 군사 지휘관 바이주(Baiju)를 몽골이 지배하던 페르시아 지역으로 파견했다.[34] 5년 후, 가잔은 자신의 몽골인 및 페르시아인 가신들을 중국으로 보내 훌레구가 중국 내에서 가졌던 영지의 수입을 징수하게 했다. 그들은 중국에서 테무르 카안에게 조공을 바치며 몽골 유라시아 전역의 문화 교류에 기여했다.[35] 가잔은 다른 몽골 칸들에게 테무르 카안 아래로 힘을 합칠 것을 촉구했으며, 이는 카이두의 적인 백장 칸국의 칸 바얀의 지지를 얻었다. 또한, 가잔의 궁정에는 중국인 의사들이 활동하기도 했다.[36]
가잔 칸은 오랜 기간 동안 프랑코-몽골 동맹을 시도했던 몽골 지도자들 중 한 명으로, 유럽인 및 십자군과 외교적 접촉을 통해 공동의 적인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에 대항하려 했다. 그는 이미 기독교 속국인 킬리키아의 아르메니아 왕국이나 조지아의 군사력을 활용했다. 이 계획의 목표는 가잔의 군대, 기독교 군사 기사단, 키프로스 귀족들이 협력하여 이집트 맘루크 왕조를 격파하고 예루살렘을 유럽인들에게 넘겨주는 것이었다.[38] 당시 피사의 이솔(Isol the Pisan)이나 부스카렐로 데 기졸피와 같은 많은 유럽인들이 가잔 칸을 위해 일했으며, 때로는 고위직을 맡기도 했다.[39] 역사가 피터 잭슨에 따르면, 14세기 유럽에서는 몽골 문화에 대한 유행이 일어 많은 이탈리아 아이들이 가잔 칸을 포함한 몽골 지도자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고 한다. '칸 그란데(대칸)', '알라오네(훌레구)', '아르고네(아르군)', '카사노(가잔)'와 같은 이름이 기록되었다.[40]
1299년 10월, 가잔 칸은 이러한 구상의 일환으로 군대를 이끌고 시리아로 진군하며 기독교 세력에게 합류를 요청했다.[41] 그의 군대는 알레포를 점령했고, 그곳에서 속국인 킬리키아의 아르메니아 왕국의 왕 헤툼 2세가 이끄는 군대와 합류했다. 헤툼 2세의 군대에는 성전기사단과 구호기사단 일부 병력도 포함되어 있었다.[42] 몽골과 동맹군은 1299년 12월 23일 또는 24일에 벌어진 와디 알-카잔다르 전투에서 맘루크 군대를 격파했다.[44] 몽골군의 일부는 퇴각하는 맘루크 군대를 가자까지 추격하여 이집트로 몰아냈다.[43] 가잔의 주력 부대는 다마스쿠스로 진격하여 1299년 12월 30일에서 1300년 1월 6일 사이에 도시를 항복시켰으나, 다마스쿠스 성채는 저항을 계속했다.[44][45][46] 그러나 가잔 군대의 대부분은 말 먹이 부족 문제로 추정되어 1300년 2월에 철수했다. 그는 1300년에서 1301년으로 넘어가는 겨울에 다시 이집트를 공격하겠다고 약속했다.[47][48] 몽골 장군 물라이 휘하의 약 1만 명의 기병이 잠시 시리아를 통치하기 위해 남겨졌으나, 이들 역시 곧 철수했다.[49]
가잔 칸은 맘루크 왕조에게 두려움과 경멸의 대상이었다. 맘루크 측은 1300년 1월, 이븐 타이미야를 포함한 저명한 학자들과 이맘들을 가잔이 주둔하고 있던 알-나베크로 보내 다마스쿠스 공격 중단을 설득하려 했다. 이븐 타이미야는 1301년 8월 다마스쿠스에서 가잔의 사절을 만났을 수도 있다.[50] 한 기록에 따르면, 이븐 타이미야는 가잔에게 다음과 같이 직언했다고 전해진다.
''"당신은 자신이 무슬림이며, 무에진, 무프티, 이맘, 셰흐와 함께 한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당신은 무엇을 위해서 우리를 침략해서 우리의 나라에 이르렀습니까? 당신의 아버지와 당신의 할아버지인 훌레구는 불신자였지만 우리를 공격하지 않았고 그들의 약속을 지켰습니다. 하지만 당신은 약속을 했음에도 약속을 어겼습니다."''
1300년 7월, 십자군은 16척의 갤리선과 소형 선박들로 함대를 구성하여 해안 공격을 시도했으며, 가잔의 사신이 동행했다.[51][52] 십자군은 루아드 섬에 기지를 건설하고 그곳에서 타르투스를 공격하며 가잔 군대를 기다렸으나, 몽골군의 도착이 지연되자 결국 키프로스로 퇴각했다. 루아드 섬에 남겨진 십자군 요새는 1303년 맘루크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루아드 포위전).
1301년 2월, 몽골군은 6만 명의 병력으로 다시 진격했지만 시리아 주변에서 일부 습격을 감행하는 것 외에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가잔 휘하의 장군 쿠틀루샤는 요르단 계곡에 2만 명의 기병을 주둔시켜 몽골 관리가 있던 다마스쿠스를 방어하려 했으나, 이들 역시 곧 철수해야 했다.[54]
가잔은 유럽과의 외교적 노력을 계속했다. 1301년 말, 그는 교황 보니파시오 8세에게 서신을 보내 성지를 다시 프랑크인 국가로 만들기 위해 군대, 사제, 농민을 파견해 줄 것을 요청했다.[54] 하지만 이번에도 가잔은 군대를 이끌고 나타나지 않았다. 그는 1302년 교황에게 다시 서한을 보냈고, 그의 사신들은 카를로 2세의 궁정을 방문하기도 했다. 카를로 2세는 1303년 4월 27일, 괄테리우스 데 라벤델을 사신으로 가잔의 궁정에 파견했다.[55]
1303년, 가잔은 부스카렐로 데 기졸피를 통해 에드워드 1세에게 서한을 보내, 증조부인 훌레구가 맘루크 왕조와의 전쟁을 돕는 대가로 예루살렘을 프랑크인에게 주겠다고 약속했던 것을 재확인했다.[56] 앞서 차가타이 칸국의 침략을 격퇴한 몽골군은 다시 시리아로 진격했다. 그러나 가잔의 군대는 1303년 4월 다마스쿠스 남쪽에서 벌어진 마르즈 앗사파르 전투에서 맘루크 군대에게 결정적인 패배를 당했다.[58] 이는 몽골의 마지막 대규모 시리아 침공이 되었다.[59]
4. 2. 맘루크 왕조와의 전쟁
가잔 칸은 유럽 세력 및 십자군과 외교적으로 접촉하여 공동의 적인 이집트 맘루크 왕조에 대항하는 프랑코-몽골 동맹을 형성하려 시도했던 여러 몽골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이미 킬리키아 아르메니아나 조지아와 같은 기독교 속국의 군사력을 활용하고 있었다. 이 계획의 목표는 가잔 칸의 군대, 기독교 군사 기사단, 키프로스 귀족들이 협력하여 이집트 맘루크 군대를 격파하고 예루살렘을 유럽인들에게 넘겨주는 것이었다.[38] 당시 피사인 이솔(Isol the Pisan)이나 부스카렐로 데 기졸피(Buscarello de Ghizolfi) 같은 많은 유럽인들이 가잔 칸을 위해 일했으며, 때로는 고위직을 맡기도 했다.[39] 역사가 피터 잭슨에 따르면, 14세기 유럽에서는 몽골 문화에 대한 유행이 일어 이탈리아에서는 가잔 칸을 포함한 몽골 지도자들의 이름을 딴 아이들이 많았다고 한다. '칸 그란데(대칸)', '알라오네(훌레구)', '아르고네(아르군)', '카사노(가잔)' 같은 이름이 기록되었다.[40]1299년 10월, 가잔 칸은 군대를 이끌고 시리아로 진군하며 기독교 세력에게 합류를 요청했다.[41] 그의 군대는 알레포를 점령했고, 그곳에서 속국인 킬리키아의 아르메니아 왕국의 왕 헤툼 2세가 이끄는 군대와 합류했다. 헤툼 2세의 군대에는 성전기사단과 구호기사단 병력도 포함되어 이후 공격에 참여했다.[42] 몽골과 그 동맹군은 1299년 12월 23일 또는 24일에 벌어진 와디 알카잔다르 전투에서 맘루크 군대를 격파했다.[44] 몽골군의 일부는 본대에서 분리되어 퇴각하는 맘루크 군대를 가자까지 추격하여 이집트로 몰아냈다.[43] 가잔 칸 군대의 주력은 다마스쿠스로 진격하여, 1299년 12월 30일에서 1300년 1월 6일 사이에 도시의 항복을 받아냈으나, 다마스쿠스 성채는 계속 저항했다.[44][45][46] 그러나 가잔 칸 군대의 대부분은 1300년 2월에 퇴각했는데, 이는 군마에게 먹일 사료 부족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는 1300년에서 1301년으로 넘어가는 겨울에 다시 돌아와 이집트를 공격하겠다고 약속했다.[47][48] 이후 몽골 장군 물라이(Mulay) 휘하의 약 1만 명의 기병이 시리아를 통치하기 위해 잠시 남겨졌으나, 그들 역시 곧 철수했다.[49]
가잔 칸은 맘루크 왕조에게 두려움과 동시에 경멸의 대상이었다. 맘루크 측은 1300년 1월, 가잔 칸이 주둔하고 있던 안나벡(al-Nabk)으로 이븐 타이미야를 포함한 저명한 학자들과 이맘들로 구성된 사절단을 파견하여 다마스쿠스 공격을 멈추도록 설득하려 했다.[50] 이븐 타이미야는 1301년 8월 다마스쿠스에서 가잔 칸의 사절을 만났을 수도 있다.[50] 한 기록에 따르면, 당시 다른 학자들은 감히 말을 꺼내지 못했으나 이븐 타이미야는 가잔 칸에게 다음과 같이 직언했다고 전해진다.
''"당신은 스스로 무슬림이라 칭하며 무에진, 무프티, 이맘, 셰흐와 함께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우리를 침략하고 우리 땅에 이르렀습니까? 당신의 아버지와 할아버지인 훌레구는 불신자였지만 우리를 공격하지 않았고 약속을 지켰습니다. 하지만 당신은 약속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어겼습니다."''
1300년 7월, 십자군은 16척의 갤리선과 작은 배들로 이루어진 소규모 함대를 조직하여 해안 지역을 공격하려 했고, 가잔 칸의 사신이 이들과 동행했다.[51][52] 십자군은 작은 섬인 아르와드(Ruad)에 기지를 세우고, 그곳을 거점으로 타르투스에 대한 공격을 감행하며 가잔 칸의 군대를 기다렸다. 하지만 몽골군은 제때 도착하지 못했고, 결국 십자군은 키프로스로 퇴각했다. 아르와드 섬에 남겨진 십자군 요새는 1303년 맘루크 군대에 의해 포위되어 함락되었다(루아드 포위전).
1301년 2월, 몽골군은 약 6만 명의 병력으로 다시 진격했지만, 시리아 주변에서 몇 차례 소규모 습격을 감행하는 것 외에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가잔 칸 휘하의 장군 쿠틀루샤(Kutlushah)는 몽골인 관리가 배치된 다마스쿠스를 방어하기 위해 요르단 계곡에 2만 명 규모의 기병을 주둔시켰으나, 이들 역시 곧 철수해야 했다.[54]
다음 겨울 공세를 위해 십자군과의 합동 작전 계획이 다시 수립되었고, 1301년 말 가잔 칸은 교황 보니파시오 8세에게 서신을 보내 성지를 다시 프랑크인 국가로 만들기 위한 군대, 사제, 농민 파견을 요청했다.[54] 하지만 이번에도 가잔 칸은 약속한 군대를 이끌고 나타나지 않았다. 그는 1302년 교황에게 다시 서한을 보냈고, 그의 사신들은 나폴리의 카를로 2세 궁정도 방문했다. 이에 카를로 2세는 1303년 4월 27일 구알테리우스 데 라벤델(Gualterius de Lavendel)을 사신으로 가잔 칸의 궁정에 파견했다.[55]
1303년, 가잔 칸은 부스카렐로 데 기졸피를 통해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에게 또 다른 서신을 보냈다. 이 서신에서 그는 증조할아버지인 훌레구가 맘루크 왕조와의 전쟁을 돕는 대가로 예루살렘을 프랑크인에게 주겠다고 약속했던 것을 다시 한번 언급했다.[56] 몽골군은 속국 아르메니아 군대와 함께 약 8만 명의 병력을 동원하여 차가타이 칸국의 쿠틀룩 콰자(Qutlugh Khwaja)가 이끄는 침략군을 격퇴한 상태였다.[57] 이 성공 이후, 몽골군은 다시 시리아로 향했다. 그러나 1303년 4월, 가잔 칸의 군대는 다마스쿠스 남쪽에서 벌어진 마르즈 앗사파르 전투에서 맘루크 군대에게 결정적인 패배를 당했다.[58] 이 전투는 몽골의 마지막 대규모 시리아 침공이 되었다.[59]
5. 죽음과 유산
1304년 5월 17일, 가잔 칸은 34세의 나이로 병사했다.[4] 그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동생 올제이투를 후계자로 지명했으며,[63] 그의 사후 올제이투가 칸위를 계승했다. 가잔의 유해는 타브리즈로 옮겨져, 생전에 타브리즈 교외 샴부 땅에 건설했던 가자니야(Ghāzāniyya)라는 와크프 복합 시설 내 묘소에 매장되었다.
가잔 칸의 치세 동안 일칸국은 정치적, 문화적으로 크게 발전하며 전성기를 맞이했다. 그러나 가잔 칸과 그의 뒤를 이은 올제이투 모두 비교적 짧은 재위 기간을 가졌고, 이는 일칸국의 전성기가 단기간에 끝나고 쇠퇴기로 접어드는 한 요인이 되었다.
가잔 칸의 주요 유산 중 하나는 일칸국의 이슬람화이다. 그는 즉위와 함께 스스로 "이슬람의 제왕"(Pādshāh-i Islām)을 자처하고 무슬림 이름인 "마흐무드 가잔"(Maḥmūd Ghāzān)을 사용했다. 또한 즉위 첫 해에 이슬람 외 종교 시설, 특히 불교 사찰과 조로아스터교 사원의 파괴를 명령하는 칙령을 내렸으며, 기독교 교회당과 유대교 회당 역시 파괴된 것으로 전해진다. 이를 통해 일칸국은 기존 몽골의 국가 체제와 관습을 유지하면서도 국가 차원의 이슬람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되었다.
행정 및 문화 분야에서도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1298년에는 이슬람으로 개종한 유대인 출신의 라시드 앗딘을 재상으로 등용하여 재정 개혁과 국가 지배 체제 강화를 추진했다.[33] 또한 1300년에는 라시드 앗딘에게 칭기스 칸 가문과 훌레구 원정 이후 일칸국 내 튀르크 및 몽골 부족의 역사를 집대성한 역사서 편찬을 명했다. 이 작업은 가잔 칸 사후 올제이투 시대에 『집사(集史)』(Jāmiʿ al-Tawārīkh)로 완성되었으며, 이후 이란과 중앙아시아 역사 서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편, 가잔 칸은 수피즘에도 관심을 보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맘루크 측 기록에 따르면, 그는 셰이크 사드르 알딘 이브라힘 함무이야로부터 수피의 상징인 양모 코트를 받았는데, 이는 그가 수피즘에 입문했음을 시사할 수 있다. 그러나 1303년에는 일부 수피 셰이크들이 가잔 칸을 폐위하고 그의 사촌 알라 피렌(Ala Fireng)을 옹립하려는 음모에 연루되었다는 보고가 올라오는 등, 가잔 칸과 수피 세력 간의 관계가 항상 순탄했던 것은 아니었다.[64]
6. 가족 관계
가잔의 부모는 아르군과 그의 첩인 도르베드 오이라트 출신의 쿨탁 에게치였다.[3] 가잔은 1271년 11월 5일 아바스쿤 (현재 반다르 토르카만 근처)에서 태어났으며,[4][5] 할아버지 아바카의 총애하는 아내 불루칸 카툰(Buluqhan Khatun)의 오르도에서 자랐다.[6]
가잔은 여러 명의 아내를 두었다. 그중 쿠쿠친(코쾨친) 카툰은 원래 가잔의 아버지 아르군과 약혼했으나, 카안 울루스에서 마르코 폴로 등이 포함된 사절단과 함께 일 칸국으로 오는 동안 아르군이 사망하여 대신 가잔과 결혼하게 되었다.[81]
가잔의 배우자와 자녀는 다음과 같다.
'''배우자'''
이름 | 비고 |
---|---|
예디 쿠르트카 하툰 | 술두스 부족 몽케 테무르 궤레겐과 투글루그샤 하툰(카라 훌레구의 딸)의 딸 |
불루간 하툰 후라사니 | 콩기라트 부족 아미르 타수와 멩글리테긴(아르군 아가의 딸)의 딸 |
코쾨친 하툰 | 1269년 출생, 1293년 아바르에서 결혼, 1296년 사망. 불루간 하툰의 친척. |
불루간 하툰 무아자마 | 1295년 10월 17일 타브리즈에서 결혼, 1310년 1월 5일 사망. 콩기라트 부족 오트만 노얀의 딸. 가이하투와 아르군의 미망인. |
에실 하툰 | 1293년 약혼, 1296년 7월 2일 타브리즈에서 결혼. 바야우트 부족 투그 티무르 아미르-튀만(노카이 야르구치의 아들)의 딸. |
돈디 하툰 | 1298년 2월 9일 사망. 잘라이르 부족 아크 부카의 딸. 가이하투의 미망인. |
카라뮌 하툰 | 1299년 7월 17일 결혼, 1304년 1월 21일 사망. 콩기라트 부족 쿠틀루그 테무르(불루간 하툰 무아자마의 사촌)의 딸. |
귄지슈카브 하툰 (쿤주시캅 카툰) | 칠라운의 증손자인 샤다이 궤레겐과 오르구다크 하툰(줌구르의 딸)의 딸. |
이리니 팔레올로기나 |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의 딸. 1302년 결혼.[60] |
후툴룬 | 카이두의 딸. |
'''자녀'''
이름 | 출생/사망 | 어머니 | 비고 |
---|---|---|---|
사산아 | 1291년 다마반드 출생 | 불루간 하툰 후라사니 | |
알주(Alju) | 1298년 2월 22일 아란 출생 - 1300년 8월 20일 타브리즈 사망 | 불루간 하툰 무아자마 | |
울제이 쿠틀룩 카툰(Öljei Qutlugh Khatun) | 불루간 하툰 무아자마 | 처음에는 울제이투의 아들 비스탐(Bistam)과 결혼했다가, 이후 비스탐의 형제인 아부 사이드와 재혼함. |
7. 계보
가잔 칸의 직계 조상은 다음과 같다.
가잔의 아버지는 일 칸국의 칸이었던 아르군이며, 할아버지는 아바카이다. 가잔은 아르군의 장남으로[76], 어머니는 도르베드 부족 출신의 쿨탁 에게치(Qultaq Egechi)였다.[3] 라시드 알딘 하마다니에 따르면, 아르군과 쿨탁 에게치의 결혼은 당시 아르군이 총독으로 있던 마잔다란 주에서 이루어졌다.[3]
가잔은 1271년 11월 5일 아바스쿤 (현재 반다르 토르카만 근처)에서 태어났으며,[4][5] 할아버지 아바카 칸이 총애하던 아내 불루칸 카툰(Buluqhan Khatun)의 오르도에서 자랐다.[6][76]
참조
[1]
서적
Beyond the legacy of Genghis Khan
Martinus Nijhoff Brill
2017-04-06
[2]
문서
[3]
문서
[4]
서적
Dictionary of World Biography: The Middle Ages
Routledge
1998
[5]
서적
Iran under the Mongols: Ilkhanid Administrators and Persian Notables in Far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6]
문서
Rashid al-Din – Universal history
[7]
서적
Religions of the Silk Road
Palgrave Macmillan
2010
[8]
문서
"Padshah-i Islam: the conversion of Sultan Mahmud Ghazan Khan, pp. 159–177"
[9]
문서
[10]
간행물
The "Nawrūz King": the rebellion of Amir Nawrūz in Khurasan (688–694/1289–94)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Ilkhan polity at the end of the thirteenth century
https://www.cambridg[...]
2015-10
[11]
문서
Rashid al Din – Ibid
[12]
문서
Société de géographie (France)-The Travels of Marco Polo
[13]
문서
[14]
문서
The Empire of Steppes
[15]
문서
[16]
문서
[17]
서적
The Crusade in the Later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Brill
1965-01
[18]
서적
The Mongols and the Armenians (1220-1335)
https://books.google[...]
BRILL
2010
[19]
문서
Tadhkirat Al-huffaz of Al-Dhahabi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학위논문
Mediating Sacred Kingship: Conversion and Sovereignty in Mongol Iran
University of Michigan
2016
[26]
서적
The Successors of Genghis Khan
https://paxmongolica[...]
Columbia University Press
[27]
문서
[28]
문서
[2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urke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4-27
[30]
문서
[31]
문서
Ibn Taymiyya, Textes Spirituels I-XVI
2002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Chingjung chu-shih chi
[35]
서적
Culture and Conquest in Mongol Eurasia
[3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6-28
[37]
문서
[38]
문서
The Trial of the Templars
[39]
문서
[40]
서적
The Mongols and the West
[41]
문서
[42]
문서
[43]
문서
[44]
문서
[45]
문서
[46]
문서
Adh-Dhababi's Record of the Destruction of Damascus by the Mongols in 1299–1301
[47]
문서
[48]
문서
[49]
문서
[50]
서적
The Mongol Invasions of Bilād al-Shām by Ghāzān Khān and Ibn Taymīyah's Three "Anti-Mongol" Fatwas
http://mamluk.uchica[...]
University of Chicago
2017-02-23
[51]
문서
[52]
문서
[53]
문서
Le Royaume Armenien de Cilicie
[54]
문서
[55]
문서
[56]
문서
Encyclopædia Iranica article
[57]
문서
Jacques de Molay
[58]
문서
[59]
문서
[60]
문서
[61]
서적
The court of the Il-khans, 1290-1340 : the Barakat Trust Conference on Islamic Art and History, St. John's College, Oxford, Saturday, 28 May 1994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62]
문서
[63]
서적
The Mongols in Iran: Chingiz Khan to Uljaytu 1220–1309
https://books.google[...]
Routledge
[64]
간행물
Sufis and Shamans: Some Remarks on the Islamization of the Mongols in the Ilkhanate
https://www.jstor.or[...]
1999
[65]
웹사이트
The Preaching of Islam
https://books.google[...]
[66]
문서
[67]
문서
[68]
문서
[69]
웹사이트
Coins of Ghazan
http://mehmeteti.150[...]
[70]
뉴스
Maḥmūd Ghāzān
Encyclopædia Britannica
2009
[71]
서적
Histoire de l'Empire Mongol
[72]
논문
The role of the ortoq in the Mongol Empire in forming business partnerships
[73]
서적
Culture and Conquest in Mongol Eurasia
[74]
문서
Trois documents
[75]
저널
Gesta Dei per Mongolos 1300. The Genesis of a Non-Event
1979-10
[76]
서적
집사(集史)
일칸국|훌레구 울루스
1310년 ~ 1311년
[77]
서적
Religions of the Silk Road
Palgrave Macmillan
2010
[78]
서적
Padshah-i Islam: the conversion of Sultan Mahmud Ghazan Khan
[79]
서적
유라시아 유목제국사
사계절
[80]
서적
The Mongols and the West: 1221–1410
Longman
2005
[81]
서적
The Travels of Marco Polo
[82]
서적
The Crusade in the Later Middle Ages
[83]
서적
Religions of the Silk Road
Palgrave Macmillan
2010
[84]
문서
앗다하비(Al-Dhahabi)의 《Tadhkirat Al-huffaz》
[85]
서적
The Preaching of Islam: A History of the Propagation of the Muslim Faith
https://archive.org/[...]
A. Constable and Company
1896
[86]
저널
Mongol Raids into Palestine (AD 1260 and 1300)
1987
[87]
서적
Histoire de l'Empire Mongol
Fayard
1993
[88]
문서
Foltz
[89]
문서
Roux
[90]
문서
Jackson
[91]
문서
Roux
[92]
저널
몽골支配期 西아시아의 驛站制와 가잔 칸(Ghazan Khan)의 改革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